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엘지 양문형 냉장고 [LG 냉장고 도어] 도어 색상이 달라 보여요.

by 백합_m 2024. 9. 16.
 

LG 양문형 냉장고 [LG 냉장고 도어] 도어 색상이 달라 보여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설치 장소의 광원에 따라 반사되는 빛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색상의 제품이라도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조명 위치 또는 주변 밝기 영향으로 바닥 재질에 따라 빛 반사가 되어 색상이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보세요.

제품의 색상이 동일하더라도, 광원의 위치/종류 또는 제품 설치 위치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나게 보일 수는 있습니다.

조명이나 휴대폰 플래시 등을 이용해 빛을 비추어 보면 제품이 동일 색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일 색상의 제품과 A4용지를 놓고 서로 비교해 봤을 때, 어두운 곳이나 상대적으로 빛이 부족한 곳에 설치된 제품은 제품과 A4용지가 모두 어둡게 보입니다.

이는 제품 색상의 문제가 아닌 설치 환경 요소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 제품 색상은 동일하지만 광원의 종류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제품의 색상이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느낌상 색상이 다르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광원의 종류에 따라 제품 색이 달라 보이는 사례

➔ 광원의 색상에 따라 제품 색상이 다르게 보일 수 있어요.

 

색상 차이는 제품 불량이 아닌 외부 환경 차이로 발생하며 제품의 위치를 바꿔 보면서 확인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직접 제품을 이동하며 확인하기는 어려워 간단하게 A4용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한 test 방법이 있습니다.

동일 색상의 제품과 A4용지를 놓고 비교해 봤을 때 어두운 곳이나 상대적으로 빛이 부족한 곳에 설치된 제품은 제품과 A4용지가 모두 어둡게 보입니다.

제품 색상의 문제가 아닌 설치 환경 요소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있습니다.

 

 

self test 방법

동일한 색상의 A4용지라도 위치별 (1~4) A4용지 색상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LG 양문형 냉장고  [LG 냉장고 서랍] 서랍 조립이 힘들어요. 서랍이 여닫을 때 뻑뻑해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요

이렇게 해보세요.

냉장실 서랍, 냉동실 서랍, 신선 야채실의 경우입니다.

서랍 사이에 이물질(음식물)이 끼어 있으면 서랍을 여닫을 시 뻑뻑하게 열리거나 닫힐 수 있습니다.

서랍이 레일과 잘 안 맞춰져 있으면 그럴 수 있습니다.

간혹 레일이 파손된 경우 서랍이 뻑뻑하게 여닫힐 수 있습니다.

제품 구입 후 보호비닐을 제거하지 않으면 여닫을 때 소음이나 뻑뻑할 수 있습니다.

 

서랍을 분리한 후 서랍 레일과 서랍 사이, 서랍 안쪽을 청소해 주세요.

레일 조립이 잘 맞지 않았다면 재조립을 해보세요.

제품 구입 후 보호비닐을 제거하지 않았다면 서랍을 여닫을 때 보호비닐에 의해 소리가 날 수 있으나, 정상이니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파손된 경우와 확인 후에도 조립이 잘 안된다면 서비스 서비스매니저의 점검을 받으세요.

표시부에 끈적한 이물이 묻지는 않았는지 확인 후, 닦아서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형상은 다소 상이할 수 있습니다.

 

 

얼음 저장통, 얼음 보관 그릇, 얼음 바구니의 경우입니다.

얼음이 많이 보관되어 있을 경우 걸려서 분해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얼음이 쏟아지지 않도록 걸리는 구조가 있습니다.

얼음을 적당량 보관하여 주시고, 오래된 얼음은 비워서 사용해 주세요.

얼음 저장통 분해 시, 살짝 들어 분해하여 주세요.

 

 

 

 

 

LG 양문형 냉장고  [LG 냉장고 구조] 냉장고 바닥으로 따뜻한 바람이 나와요.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냉장고 뒤편 기계실의 냉각모터(컴프레서)가 가동되면서 열이 많이 발생합니다.

➔ 이 열을 식혀주기 위해서 팬 모터가 작동합니다.

 

팬 모터가 작동 시 생기는 바람이 냉각모터(컴프레서)의 열을 식히면서 냉장고의 옆면과 바닥에서 따뜻한 바람이 나옵니다.

따라서 냉장고의 옆면과 바닥에서 따뜻한 바람이 느껴져도 냉장고의 냉기가 잘 나오고 있다면 안심하고 사용하셔도 됩니다.

특히 냉장고 설치 직후나 여름철 날씨가 더워지면 냉기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 냉각모터(컴프레서) 가동시간이 길어지면서 더 뜨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출처: 엘지전자

고객지원: https://www.lge.co.kr/support